본문 바로가기

ESG 관련 협의체 기관들 알아보기 CDF,PRI,CDSB,GRI,GSIA

경제정보 by 나의정보 2025. 6. 30.
728x170

ESG에 관련하여 이끄는 협의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CDF

CDP (Carbon Disclosure Project)

전세계 기업과 도시 환경 정보 를 수집 공개하는 비영리 국제기구 (탄소배출,기후변화,수자원,산림등등)

CDP는 글로벌 ESG 공시 기준중에서 E 항목에서 가장 신뢰받는 평가기관입니다.

23,000개 이상 기업,800개 이상 도시에 대하여 기후변화,수자원,산림지원등 3개의 영역에 대한 평가를

A~D 및 F등급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전자, LG화학, SK, 현대차, 포스코 등 대기업 다수 참여 하고 있습니다.


 

CDSB (Climate Disclosure Standards Board)

기업들의 기후변화 관련 정보들을 재무보고서에 포함하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국제 비영리 기구입니다.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 프레임워크로, ESG 중 특히 E (환경) 항목에서 회계기준과 연결되는 신뢰도 높은 환경 공시 기준입니다.

2007년 세계자연기금 등 7개 환경,회계 기구의 협력으로 시작 하였습니다.

일관성을 위하여 TCFD,GRI,CDP 등 주요 가이드라인에 적용 되도록 고안했습니다.


 

GRI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전 세계 기업들이 경제, 환경, 사회적 영향에 대한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돕는 국제 표준입니다.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비재무적 요소 보고를 위한 글로벌 프레임워크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단체입니다.

ESG 중 특히 전 영역(E, S, G)을 포괄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ESG 공시 기준입니다.

환경책임연합(CERES)과 UN환경계획(UNEF)이 중심이 되어 1997년 보스톤에서 설립

 

기업의 환경(E), 사회(S), 경제적(G) 영향을 투명하게 공시

이해관계자(주주, 소비자, 지역사회 등)에게 책임 있는 경영정보 제공

비재무 정보 공개를 위한 세계 표준으로 기능


GSIA

 

GSIA(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

전 세계 주요 지속가능 투자 기관들이 모여 설립한 국제 연합체로,
지속가능 금융(Sustainable Finance)의 글로벌 현황과 성장 추세를 정기적으로 조사·공표하는 기구입니다.

2011년 설립

 

지속가능 투자(Sustainable Investment) 확대

글로벌 지속가능 투자 규모 조사 및 비교

정책 입안자 및 투자자 대상 교육·연구

ESG 통합 및 책임 투자 방식의 확산 촉진 

 

GSIA의 보고서는 전 세계 지속가능 투자 규모와 추세를 가장 권위 있게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됩니다.

2020년 GSIR 기준, 전 세계 지속가능 투자 규모는 약 35.3조 달러

유럽 > 미국 > 일본 > 캐나다 > 호주 순으로 규모 큼

ESG 통합 전략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식


 

PRI

PRI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

2006년 UN(유엔)이 주도하여 설립한,
전 세계 투자자들을 위한 ESG 투자 행동 원칙 네트워크입니다.

ESG를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하려는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국제 협약입니다.
ESG의 '실천 가이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요소를 투자 분석과 의사결정 과정에 통합하도록 유도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고 책임 있는 자본 시장 조성을 목표로 함

 

항목내용

가입 기관 수 5,000개 이상 (2024년 기준)
총 운용 자산 121조 달러 (2024년 기준)
대표 가입자 블랙록, 피델리티, 노르웨이 국부펀드, 일본 GPIF, 한국 국민연금 등
사용 분야 연기금, 자산운용사, 보험사, 벤처캐피탈 등 모든 투자기관

 

 


ESG 탄생과 의미 개념 알아보기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