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초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주식을 20년 가까이 해오면서 기본적인 용어정도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EPS
주당순수익
Earnings Per Share
EPS는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기업의 주식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이 지표는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주주가 한 주당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나타냅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이익을 잘 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기업이 벌어들인 순수익(당기순이익) 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주식 1주당 순수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1주당 얼마를 벌었니?입니다.
EPS 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는 높다고 볼수 있고,그만큼 회사가 매출이익이 좋아서 안정적이라고 볼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환사채,주식유상증자,무상증자 등으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EPS가 낮아지게 됩니다.
EPS를 보실 때는 매년 수치(숫자)가 올라갔는지를 보고 판단하면 됩니다.
EPS를 분석할 때 고려할 점:
- EPS 성장률: EPS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기업이 잘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 EPS 비교: 같은 업계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해 EPS가 얼마나 경쟁력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조정 EPS: 비일상적인 항목(예: 일회성 비용이나 수익)을 제외한 조정된 EPS가 중요한 경우도 많습니다.
이 지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지만, 다른 지표들과 함께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EPS가 높다고 해서 항상 좋은 기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죠.
PER
주가순익비율
Price-to-Earnings Ratio
PER(Price-to-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은 기업의 주가가 해당 기업의 주당순이익(EPS)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또는 얼마나 저렴한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즉, PER은 주식 한 주를 사기 위해 투자자가 현재 주가에서 얻을 수 있는 1원의 이익을 구하는 지표입니다.
주가를 주당순이익(EPS) 으로 나눈 주가의 수익성 지표 PER = 주가 / EPS(당기순수익) PER이 높으면 고평가된 기업 PER이 낮으면 저평가된 기업 기본적으로는 PER이 낮으면 무조건 좋다 PER이 높으면 나쁘다고 판단하면 안되며, 그냥 지표정도만 참고하고 만약 판단을 한다면 동종업계 다른기업과 비교를 해보고 판단하는게 좋습니다.
PER 활용법:
- 업종 비교: 같은 업종 내 기업들의 PER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평가 또는 저평가된 기업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 역사적 PER: 해당 기업의 역사적인 PER과 비교하여 현재 PER이 과거 평균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성장성 고려: 높은 PER을 가지는 기업은 대개 성장성이 높다고 평가되지만, 성장률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PER만 높다고 판단하기에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주식 기초 용어 알아보기 PBR 주당순자산비율
다음 시간에는 다른 주식의 기초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초 용어 알아보기 BPS 주당순자산가치 (0) | 2025.01.31 |
---|---|
주식 기초 용어 알아보기 PBR 주당순자산비율 (0) | 2025.01.30 |
블로그는 어떤종류가 있나? 워드프레스,텍스트큐브,이글루스,티스토리,네이버블로그 (22) | 2023.06.28 |
기술특례상장종류 성장성상장, 테슬라상장 이란? (0) | 2023.06.04 |
기술특례상장제도 의미와 유니콘특례상장이란? 상장조건,장단점 (0) | 2023.06.02 |